<전함 포템킨>의 파토스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0:37
본문
Download : [전함 포템킨]의 .hwp
이성의 판단과는 다른 원천으로부터 오는 것이며 ‘쾌(快)’ ‘고(苦)’의 정(情)이 기본이 되고 고전윤리학에서는 쾌 ·고의 정을 이성의 판단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덕(德)’이라고 하였다. 수동성 ·가변성이 내포되며 그때그때 내외의 상황에 따라 인간의 마음이 받는 기분 ·정서를 총괄하여 표현한 말이다. 윤리학에서는 대상의 자극을 받아서 생기는 감정을 말하며 특히 현대에는 감정의 격앙 ·격정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3. ‘파토스적 효과’를 자아내기 위한 ‘파토스적 구조’의 구성요소
에이젠슈타인 파토스적 효과 파토스 구조
2. 에이젠슈타인의 ‘파토스’
Download : [전함 포템킨]의 .hwp( 75 )
1. ‘파토스(pathos)’의 사전적의미
다. 고대 그리스어 paschein(받다)에서 파생된 말로 근본적인 뜻은 ‘받은 상태’이다. 파토스는 의식보다도 의식하의 감정적 충동에 더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인간 존재의 존재상황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인간 존재의 근원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전함 포템킨>의 파토스 구조
에이젠슈타인 파토스적 효과 파토스 구조 / ()
1. ‘파토스(pathos)’의 사전적의미





에이젠슈타인 파토스적 效果 파토스 구조 / ()
설명
레포트 > 기타
순서
<전함 포템킨>의 파토스구조
철학상의 용어로 정념 ·충동 ·정열 등으로 번역되며 로고스와 상대되는 말이다. ‘인간의 마음이 받은 상태’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