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역(役)’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12:29
본문
Download : 조선전기 ‘역(役)’에 관하여.hwp
101 , 조선전기 ‘역(役)’에 관하여기타레포트 ,
%E2%80%99%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1.gif)
%E2%80%99%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2.gif)
%E2%80%99%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3.gif)
%E2%80%99%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4.gif)
%E2%80%99%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5.gif)
%E2%80%99%EC%97%90%20%EA%B4%80%ED%95%98%EC%97%AC_hwp_06.gif)
101
각 유형이 다른 세목과 구분되어 독자적인 영역을 지닐 수 있는 것인지 사료를 통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세종실록> 권67 세종 17년 3월 갑신(3-618d)을 보면 政府(정부)는 민인을 동원하여 history(역사) 시키는 모든 경우를 요역으로 인식하고 있따 본사료에 따른다면 동원된 사람은 상당부분 수군이거나 그에 준한 어떤 존재인 듯하다.
레포트/기타
인정(人丁)을 직접 징발하는 역(役)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조선전기 ‘역(役)’에 관하여
순서
,기타,레포트
Download : 조선전기 ‘역(役)’에 관하여.hwp( 28 )
다.
설명
인정(人丁)을 직접 징발하는 역(役)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배 지키는 사람만 정하여 두고, 배는 항상 비워두고 있따’는 표현이 나오고, 그이유는 요역이 많기 때문으로 설명(說明)되고 있따 즉 요역으로 동원된 사람들이 본래는 배에 근무해야 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