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지각론에 관한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2:08
본문
Download : 색채지각론에 관한 요약.hwp
색채지각론에 대해서 설명(說明)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색각항상이라 함(덧붙여: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 동안 선글라스의 색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색순응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 그 대신 선글라스를 벗으면 눈이 순응하여 떨어진 색이 급격하게 선명한 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처럼 흰색 빛에 다시 순응되는 눈의 상태를 무채순응이라 함)
·프르킨예 현상:…(생략(省略))
색채지각론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자연과학,레포트
·색 지각설: 영-헬름홀츠의 3원색설, 헤링의 반대색설, 혼합설
→영-헬름홀츠의 3원색설: 우리 눈의 망막조직에는 빨강, 녹색, 파랑의 색각세포가 있고 색광을 감광하는 시신경 섬유가 있어 이 세포들의 혼합이 시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됨으로써 색지각을 할 수 있다는 가설
→헤링의 반대색설: 눈에는 노랑-파랑물질, 빨강-녹색물질, 검정-흰색물질의 3종의 시세포가 있고 이들의 분해, 합성작용에 의해 색을 지각할 수 있다고 주장
(덧붙여: 장파장의 빛이 들어오면 노랑-파랑물질 또는 빨강-녹색물질이 분해작용을 일으켜 노랑이나 빨강의 색각이 생기며 단파장은 반대로 합성작용을 일으켜 녹색과 파랑의 색각이 생기게 된다된다.색채지각론에관한요약 , 색채지각론에 관한 요약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색채지각론에 관한 요약.hwp( 49 )
레포트/자연과학
순서
색채지각론에 관한 요약
색채지각론에관한요약
설명





다. 검정-흰색물질은 모든 파장에서 분해작용이 일어나며, 빨강, 녹색, 파랑의 자극이 동시에 생기면 합성, 분해작용에 의해 무채색으로 지각된다는 학설)
→혼합설: 에드워드 맥 니콜 연구팀에 의해 망막의 수용기 수준에서는 영-헬름홀츠 3원색설과 일치하며, 신경계와 뇌에서는 헤링의 반대색설과 일치하는 두가지 단계의 과정에 의해 색각이 일어난다는 설
·빛에 대한 반응
→명암순응: 눈에서 시야의 밝기에 따라 적당하게 감도를 바꾸어 가는 자동조절 작용
·명순응: 시야의 밝기에 따라서 주로 추상체의 감도가 작용, 순간적으로 이루어짐
·암순응: 간상체가 시야의 어두움에 순응, 시간이 많이 걸림
→색순응과 프르킨예 현상
·색각항상(색의 항상성): 빛의 강도와 분광분포가 바뀌거나 눈의 순응상태가 바뀌어도 눈에 보이는 색은 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경험한다. 중파장은 빨강과 녹색물질의 합성작용으로 황록색의 색각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