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레포트(report) ] 호적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1:06
본문
Download : 호적제도.hwp
1953년 日本(일본) 정창원에서 발견된 신라 민정문서에 의하면 戶를 연(烟)이라 칭하고 가족의 연령, 우마, 전답, 염전, 楸子木, 柏子木, 桑田 등의 면적과 本數까지 家別로 조사하였으며, 상상연(上上烟)에서 하하연(下下烟)까지 구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여기서 諸國이라 함은 부족집단이며, 家 또는 戶는 가족집단을 의미한다.
1)고조선 및 삼국시대
호적제도
순서
호적제도
다.
설명
삼국시대 이전인 삼한시대에도 戶 또는 家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신라의 연호제도에서는 현실적으로 공동생활을 하는 가족단체를 단위로 연적이 편성되었던 것이다.
Download : 호적제도.hwp( 28 )
호적제도
[A+레포트(report) ] 호적제도
1. 韓末 이전의 호적제도
레포트 > 기타





호적제도
국가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조세를 징수하고 요역(徭役)을 부과하지 않을 수 없었고, 이를 위해서는 호구조사가 필수적이었으므로, 호구조사 결과를 문서로 기록하는 호적제도는 원초적인 국가체제가 성립된 고조선시대부터 이미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즉 三國志魏書 東夷傳 三韓傳에 馬韓은 凡有 五十餘國, 小國數千戶, 總十餘萬戶, 弁辰韓은 二十四國, 大國四五千家, 小國 六七百家, 總四五萬戶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