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5:55
본문
Download : 바울 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관한 연구.hwp
모쪼록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바울 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관한 연구.hwp( 58 )
1. 머리말
2. 제시된 해결책
(1) J. T. Sanders
(2) R. Bultman
(3) K. Wegenast, W. Baird, Seyoon Kim, H. Schlier, etc.
3. 문제 해결을 위한 절차 및 資料
4. 나의 해결책 및 논거
(1) J. T. Sanders
a. Sanders는 갈12장과 고전15장의 두 바울의 진술들 사이에는 완전한 모순이 존재함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즉 그에게 있어서 갈라디아서와 고린도전서는 완전히 다른 논리로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 바울 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b. 그러나 그가 생각한 것처럼 실질적인 모순은 없다.
c. 이들의 올바른 견해에서 발견되는 것은 갈1:12과 고전 15:3이 다루는 주제와 관점에서 다르다는 것을…(생략(省略))
바울 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바울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상대하여 갈1:12. 고전5:3의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봤습니다.
(2) R. Bultman
a. Bultman에 따르면 갈라디아서 1장은 진정한 것이고 고전 15장은 사도의 조리에 맞지 않는 진술이다. 복음은 오로지 계속해서 선포를 낳는 선포를 통해서만 전해질 수 있었다. 그의 논문은 아주 독단적이다.
(3) K. Wegenast, W. Baird, Seyoon Kim, H. Schlier, etc.
a. 이들에 따르면 갈1:12은 복음의 본질을 지칭하고 고전 15:3은 복음의 형식을 지칭한다
b. 이들 입장의 세부적 내용은 다르지만 공통되는 기본주장은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경험한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통해” 십자가에 못밖힌 예수가 부활하고 승귀된 주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반면(갈1:12, 16), 고전 15:3의 전승은 복음의 이 본질을 형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이다. 그는 케뤼그마의 역사(歷史)성에 관한 질문자체를 비신화적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케뤼그마가 주는 신앙적 이해에 유념할 것을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역사(歷史)적 사실들은 전승의 대상이므로 고전15:3의 전승은 복음을 밝히는 그러한 전승이다. 모쪼록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b. `전승`에 마주향하여 Bultman은 비역사(歷史)성의 theory 으로 반론을 전개하였다.
바울복음에 나타난 `계시`와 `전승`의 관계에 대해서 갈1:12. 고전5:3의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봤습니다. 복음은 본질적으로 영적이고 케리그마적인 전승이었고, Bultman이 보았던 것처럼 교훈적 정형 어구들에 포착될 수 없었다.
c. 그러나 초대교회가 부활이전의 역사(歷史)적 예수를 회고할 때 단지 케리그마가 주는 신앙으로만 파악하였고 그 당시의 사건들을 신앙으로 각색하였다는 추측은 근거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