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자동차협상 타결의 effect과 문제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23:40
본문
Download : 韓美 자동차협상 타결의 영향과 문제점.hwp
74통상법을 개정한 88종합통상법은 74통상법상의 ‘일반301조’ 보다 훨씬 강력한 수퍼301조를 마련한 것이다.
레포트/법학행정
한미 자동차협상 타결의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법학행정,레포트
자동차협상
다. 수퍼301조는 미무역대표부가 매년 각국…(생략(省略))
韓美 자동차협상 타결의 effect과 문제점
Download : 韓美 자동차협상 타결의 영향과 문제점.hwp( 72 )
순서






설명
한미 자동차협상 타결의 effect과 문제점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자동차협상 , 韓美 자동차협상 타결의 영향과 문제점법학행정레포트 ,
I. 한미 자동차협상 타결
II. 한미 자동차협상 타결이후 한국
III. 한미 자동차협상 타결이후 미국
IV. 한미 자동차협상의 drawback(걸점)
I. 한미 자동차협상 타결
한미 양국은 95년 9월 28일 (한국시간) 관세인하나 형식승인 철폐, 소비자인식改善(개선) , 자동차 내국세제 개편, TV광고배정, 할부금융사 설립등 쟁점 6개항에 합의했다. 이번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은 자동차 세제의 개편으로 나머지 5개항에 상대하여는 일찌감치 합의해 놓고도 미국의 수퍼 301조에 의한 우선협상대상국관행(PFCP)지정시한에 임박하기까지 난항을 겪었던 부분이다.
※ 미국의 301조 시리즈
미국정부가 우리 정부에 통상압력을 가할 때 전가의 보도로 휘두르는 ‘수퍼301조’ 는 지난 88년 만들어졌다.